호모 사이언스 - 수학이 당신의 손발을 평안케하리니..... by self_fish


카툰은 클릭해서 보세요

수학의 가치란 무엇일까? 이런 해괴망측한(?) 질문에 지금까지 많은 수학의 현자들은 간단명료하면서도 우리의 폐부를 찌르는 정의를 내려주었다. 그런 주옥같은 정의 중 하나는 수학으로 인해 우리는 직접 손발로 뛰지 않고서도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얻었다라는 것이다. 즉 직접 포를 쏘지 않고도 미적분을 이용해 포탄이 떨어질 곳을 계산하여 초탄명중을 노릴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론 물리학자들은 침대에 누워서 코를 후비면서도 별의 탄생과 죽음, 심지어 우주의 과거와 미래까지 그려볼 수 있게 되었다. 실제로 이집트에서 기하학이 발달한 것도 매년 나일강의 범람으로 경작지를 새로 측정해야 했기 때문이었다. 항상 범람 전과 같은 모양의 땅을 지정해줄 수 없었기 때문에 그들은 기하학을 이용하여 모양은 다르더라도 같은 면적의 땅을 손쉽게 정해줄 수 있었다.

이런 수학의 아름다움을 명확하게 보여준 최초의 예는 해시계와 그 그림자, 그리고 기하학을 이용해 지구의 둘레를 측정했던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 기원전 276경~ 기원전 195년경)일 것이다

에라토스테네스는 북아프리카 키레네에서 태어나 아테네에서 공부했으며 문학 비평, 시학에서부터 지리학과 수학에 이르기까지 두루 통달했던 만물박사였다. 그리고 이런 만물박사에 어울릴 법하게도 훗날 그 유명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관장으로도 임명되었던 인물이다.

그는 지리학 책을 두 권 썼는데 위도선과 자오선을 사용해 세계지도를 최초로 그린 [지리학]과 지구 크기를 계산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는 [지구의 측정]이다. 두 권 다 유실되어서 다른 학자들의 기록에 의존해야 하지만 그럼에도 지구의 크기를 계산한 내용이 여러 문헌에 언급되어 지금까지 전해져 왔다는 사실은 그것이 얼마나 여러 사람들을 감동시켰는지를 말해준다.


그는 직접 줄자를 가지고서 지구를 둘러치지 않고서도 뛰어난 통찰력과 기하학만으로 지구의 둘레를 측정하였다. 그는 계산을 통해 (지금의 단위로 환산하면 대략) 40,225킬로미터라는 결론에 도달했는데 이는 현재 인정하는 40,064킬로미터에서 불과 몇 퍼센트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이후 천 년이 지난 뒤 최고의 아랍 천문학자들조차 그의 작업을 더 이상 발전시키지 못했다. 높이가 정확히 알려진 산꼭대기에서 지평선을 바라보는 각도를 잰다거나, 서로 다른 두 장소에서 하나의 별을 동시에 관찰하여 지평선으로부터 떠오른 높이를 잰다거나 하는 방식들을 동원했지만 별 소득이 없었다. 뛰어난 기기들이 등장한 현대에 와서야 과학자들은 에라토스테네스의 계산을 뛰어넘을 수 있었다.
다행히 당시 알렉산드리아에서 시에네까지의 거리(AS)가 정확히 알려져 있었다.
그리고 M의 각은 A(알렉산드리아)에 놓은 막대의 그림자 각인 7.2도와 같다.
그러므로 7.2:AS=360:x를 계산하면 지구의 둘레가 나온다.
이외에도 몇 개의 다른 풀이가 있지만 모두 초등학교 수학 정도의 실력이면 간단하게 풀 수 있다.


이처럼 너무나 천재적이었던 그의 이 측정은 2천 5백 년 가량 지난 지금까지도 그 권위를 인정받으며 줄곧 인용되고 있으며, 전 세계의 학생들이 매년 그 실험을 재현하고 있다.

에라토스테네스가 행했으리라 예상되는 측정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학자들은 아마도 그리스 식 해시계인 스카페skaphe를 이용했으리라 생각하고 있다.

-참고 및 발췌

로버트 P. 크리즈 저, 김명남 역,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실험 열 가지], 지호, 2006

*어린이 과학 월간지 과학쟁이에서 연재하고 있습니다.


핑백

덧글

  • ㅐㅐㅐ 2011/09/16 08:53 # 삭제 답글

    여기서도 보이듯이 수학은 실제와 상관 있을 때에만 가치가 있습니다. 수학을 위한 수학에 빠지지 말라는 얘기죠.
  • self_fish 2011/09/16 14:32 #

    예. 학문에 관해 참 시대착오적인 생각을 가지고 계시는군요. ^^ 전 동의하지도 않고 그런 내용도 아닙니다.
  • 프라이오 2011/09/16 15:11 # 답글

    으잉? 수학자님들이 열심히 개척해 놓으면 그거가지고 물리학자들이 열심히 가지고 놀고, 그결과를 가지고 공돌이들이 쓸곳 찾아내는게 아니었던가?
  • self_fish 2011/09/16 21:53 #

    무슨 컨베이어 벨트도 아니고 그렇게 돌아가진 않죠. ^^ 뉴턴은 수학자일까요, 물리학자일까요? 아인슈타인은요? 과거의 수학자는 거의가 물리학자였습니다. 그리고 과학이 기술에 영향을 준다는 것 또한 틀린 말입니다. 열역학은 증기기관으로 인해 생겨난 분야입니다. 그리고 시대가 갈 수록 기술의 발달이 과학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 ㅇㅅ 2011/09/16 21:53 # 삭제 답글

    수학은 본래 실용적인 가치로 발전했는데 지금의 수학은 가치를 앞서 나가는 걸까요? 지금의 수학은 딱히 손발을 편하게 하는것보다 머리아프게 하는일이 더 많고 전문적인 범위내로 들어가지 않으면 잘 쓰지 않게되네요.
  • self_fish 2011/09/16 21:58 #

    우리가 수학을 너무 어렵게 생각해서 그렇지 사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알게 모르게 많은 부분에서 활용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돈계산도 알고보면 수학이죠. ^^ 확률도 그렇고. 일기예보에서 비올 확률이 70%라면 나름 그 확률에 근거해 우산을 들고 갈지 안들고 갈지도 판단하잖아요. 그게 다 수학이죠~
  • shaind 2011/09/17 02:03 #

    수학은 본래 실용적인 가치가 없게 발전했습니다. 실용적인 것은 공학이죠.

    예를 들어 허수는 15세기에 카르다노가 실용적인 가치와 무관하게 순전히 대수학의 논리적 완결성만을 위해 만들었지만, 지금 복소수가 없으면 대부분의 과학자와 상당수의 기술자가 일을 할 수 없게 됩니다.
  • self_fish 2011/09/17 05:53 #

    실용적인 목적이 없이 발전하는게 인류 문명에 무엇이 있을까요? 수학도 그 기원은 셈에서 부터 시작하여 자연을 읽기위한 실용적인 목적에서 나온 것입니다. 허수는 카르다노가 만든게 아닙니다. 그의 저서에서 제곱하면 음이 되는 수를 언급했지만 실용적인 것 같지 않다고 하여 무시합니다. 데카르트도 이 수를 도형으로 그릴 수 없다하여 '허수'라고 부르고 외면합니다.
    결국 오일러에 이르러서야 허수의 가치를 깨닫게 되면서 허수의 기호를 i로 정하게 되지요. 그 외에도 확률은 결국 우연에서의 패턴을 읽기 위해 발전하였으며 미적분 역시 움직이는 물체를 보다 편리하게 계산하고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등장한 것입니다.
  • ㅇㅅ 2011/09/17 15:11 # 삭제

    물론 실생활에 수학적인 논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게 있지만, 그보다는 수학적인 프로그램에 더 많이 도움을 받고 있다고 봅니다. 중요한건 여기서 우리가 인식하는 수학보다 인식하지 못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수학의 범위가 더 넓다는 거죠.
    제가 생각하는 수학의 가치는 수학을 위한 수학도 중요하겠지만 그걸 써먹는 학문이 있어야 더 가치가 있겠죠. 수학도 현실적인 현상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나온것도 있고 그냥 수학을 더 깊게 하기 위해 발전한 것도 있는거죠. 가치도 변하는거고 사람들이 봐줘야 더 높이 사는 거니까요.
    쓸데없는 말이 길었는데 위에 덧글에서 수학의 가치가 앞선게 아닐까 싶은건 수학만을 위한 수학이 어떤 도움이 될까 하는 그런 의미 였어요. 뭐 그것도 써먹기 다름이겠다만...
  • nagne 2011/09/24 02:26 # 삭제 답글

    뭐, 수학의 힘이 아니라 지식의 힘이라는것이 올바른 얘기이지 않을까 하네요. 지금얘기야 수학에 중점을 둬서 이야기를 써 내려갔기 때문에 그렇지만, 결국은 수학을 포함한 다양한 지식들이 모아져서 에라토스테네스 같은 이야기가 존재하는 것이니까요. ^^
    이야기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애들에게 수학에 대해 조금은 편향된 사고를 심어주게 되지 않을까 걱정은 되는군요~ 물론 애들도 시간이 흐르면 알게되겠지만 말이죠 ^^
  • self_fish 2011/09/24 13:22 #

    제가 글을 두 개로 나눠서 썼기 때문에...다음 글까지 읽어보시면 결국은 수학을 포함한 다양한 지식이 필요하다라는 이야기 입니다. ^^
댓글 입력 영역